2023년 상반기 사회역학-정책 협동 세미나
한국건강형평성학회 학술위원회와 국립중앙의료원 정책통계지원센터가 손잡고 ‘사회역학-정책 협동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이 세미나는 건강불평등 문제를 진단하고 정책 영향을 평가하는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함께 공부하고, 건강형평성과 관련한 주요 정책들을 자유롭게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023년에는 『Methods in Social Epidemiology』(Oakes & Kaufman eds) 제2판을 함께 읽으면서, 국내 자료 분석과 관련한 경험과 노하우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상반기 세미나 주제에 관심 있는 학생과 젊은 연구자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진행 방식
# 일시: 격주 토요일 오전 10시-12시 (3/11 첫 모임)
# 장소: 국립중앙의료원 (지하철 2,4,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비수도권 거주자는 온라인 참여 가능
# 참가 자격: 학회 회원이 아니어도 신청 가능. 일회성 참여 불가. 전공과 학위에 특별히 제한없으나 보건학, 역학, 통계학에 기초 이상의 지식 필요
# 참가비용: 없음
# 인원: 선착순 15명
● 문의 및 신청
# 2023년 3월 3일(금) 마감
# 문의 및 신청 이메일 주소: socialepiseminar@gmail.com
# 신청 정보: 이름/전공/소속/연락처 + 발제를 맡고 싶은 챕터 기재
● 상반기 세미나 일정과 주제
03/11(토) 1 Introduction: Advancing Methods in Social Epidemiology
03/25(토) 2 The Measurement of Socioeconomic Status
* 최용준 등. 건강 불평등 연구에서 사회경제적 위치 지표의 이념과 활용. 예방의학회지 2007;40:475-486.
* Lee CY & Lee YH. Measurement of socioeconomic position in research on cardiovascular health disparitie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J Prev Med Public Health 2019;52(5): 281-291.
04/08(토) 3 Measuring and Analyzing “Race,” Racism, and Racial Discrimination
* 류한수.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2016;16(8): 345-356.
* Bahk et al. Associations of multicultural status with depressive mood and suicidality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roles of parental country of birth and socioeconomic position. BMC public health 2017;17(1): 1-12.
04/22(토) 4 Measuring Poverty
* 김순미 & 조경진. 노인가구의 코호트별 다차원빈곤 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9;57(1): 51-71.
* 김은주. 다차원 빈곤지표로 측정한 한국의 아동빈곤: 새로운 지표의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사회정책 2015;22(3): 105-137.
05/06(토) 5 Health Inequalities: Measurement and Decomposition
05/20(토) 6 A Conceptual Framework for Measuring Segreg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Population Outcomes
* 이영아. 한국의 빈곤층 밀집 지역 분포 및 형성 과정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5;18(1): 45-56.
* Park YH.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Distribution of Immigrants and Crime in South Korea. J Distribution Science 2018;16(7): 47-56.
06/03(토) 7 Measures of Residential Community Contexts
* 이진희. 지역적 건강불평등과 개인 및 지역수준의 건강결정요인. 보건사회연구 2016;36(2): 345-384.
* 김소영 & 남궁미. 지역환경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정관리연구 2019;14(3): 125-15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