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원고 작성 요령

2024. 5. 31 개정


1. 원고의 전체분량은 연구논문의 경우 학회에서 정한 편집용지 형식을 기준으로 최대 25매 분량을 기본으로 한다. 논문은 한글로 작성하되 한글파일(.hwp)로 제출하여야 한다. 외국어의 경우는 ( )안에 소문자로 병기한다. 그러나 인명, 지명 등 고유명사는 원어를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원고 유형별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논문(원저): 건강형평성 또는 건강불평등 분야의 학술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독창적인 연구논문이다. 본문은 20~25매(초록, 표, 그림, 참고문헌, 온라인 자료 제외), 초록은 국문 500자 이내, 영문 300 단어 이내, 표와 그림 최대 5개, 참고문헌은 30개 이하로 작성해야 한다.

   2) 문헌고찰 (종설): 건강형평성 또는 건강불평등 분야의 특정 주제에 대한 연구동향 고찰이다. 본문은 20~25매(초록, 표, 그림, 참고문헌, 온라인 자료 제외), 초록은 국문 500자 이내, 영문 300 단어 이내, 표와 그림은 최대 5개, 참고문헌은 50개 이하로 작성해야 한다.

   3) 사례보고: 건강형평성 및 건강불평등 분야의 정책, 사업, 실천의 성공 또는 실패 사례에 대한 보고이다. 본문은 15~20매(초록, 표, 그림, 참고문헌, 온라인 자료 제외), 초록은 국문 500자 이내, 영문 300 단어 이내, 표와 그림은 최대 3개, 참고문헌은 20개 이하로 작성해야 한다.

   4) 관점(비판적 논평 포함): 시의적절한 건강형평성 문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포럼을 제공하거나 건강형평성 분야의 최근 동향과 발전방향에 대해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본문은 6~7매로 제한되지만, 주제 내용과 추가 정보의 가치에 대한 편집자의 인식에 따라 더 길어질 수 있다. 초록(국문, 영문), 표와 그림은 최대 2개, 참고문헌은 10개 이하로 작성해야 한다.

   5) 현장의 목소리: 건강형평성 관련 정책 및 실천 현장과 관련된 노동자, 활동가, 옹호자, 연구자 및 정책입안자의 의견 또는 인터뷰를 담고 있다. 6~7매로 제한되지만, 주제 내용과 추가 정보의 가치에 대한 편집자의 인식에 따라 더 길어질 수 있다. 현장의 목소리는 동료 심사를 거치지 않는다.

   6) 서평: 건강형평성 및 건강불평등과 관련된 책에 대한 리뷰를 포함한다. 분량의 제한이 없으며 동료 심사를 거치지 않는다.

     

2. 논문작성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심사용 논문에는 저자 이름 및 소속, 사사 표기를 포함하지 않는다.

  

  1) 국문초록(국문 500자 이내, 공백 제외), 핵심어 3~6개

  2) 본문

  3) 참고문헌

  4) 영문초록(영문 300 단어 이내), 핵심어 3~6개

     

3. 논문 투고 신청서

     

신청서는 논문과 별도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국문 및 영문으로 각각 논문 제목, 저자 성명, 소속기관명(직위)과 함께 교신저자의 전자우편 주소와 ORCID를 명기한다. 연구비 수혜 논문인 경우 연구비의 원천과 관련 정보를 밝힌다. 연구 윤리 심의 정보(IRB 번호, 승인 기관 등)가 있다면 밝힌다. 이해관계 충돌 여부 관련 정보를 밝힌다.

     

  1)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 저자명 표기 순서는 제1저자를 제일 처음 명기하며, 나머지 공동저자의 경우 논문 기여도에 따라 명기한다.

  2) 소속은 성명 아래에 적는다. 교신저자의 연락주소(소속, 전자우편 주소)는 첫 번째 페이지의 맨 아래에 별도로 표시한다. 연구비 수혜 논문인 경우 연구비 지원기관을 명시하고 관련 정보를 밝힌다.

  3) 영문 제목의 경우 각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3. 항목별 대소번호는 ‘계층어를 쓰지 않고, I, 2, 3), (4), ⑤, 가' 의 순서로 한다. 주(註)는 내각주 방식을 따르되, 부기할 내용에 한하여 각주로 처리한다.

   예: (홍길동, 1995: 89-90), (Esping-Anderson, 1996: 15).

     

4. 문서의 편집은 다음과 같다.

  1) 편집용지 : 용지종류는 크라운판(폭 176mm, 길이 248mm)으로 지정하며 용지여백은 위쪽 15mm, 머리말 15mm, 꼬리말 15mm, 아래쪽 15mm, 왼쪽/오른쪽 25mm로 설정한다.

  2) 문단모양 : 왼쪽, 오른쪽, 위, 아래 모두 0, 들여쓰기 10pt, 줄간격 160, 낱말간격 0, 정렬방식 혼합

  3) 글꼴 및 글씨크기

    - 글꼴은 원고작성양식에 따른다.

    - 제목 및 국문초록 : 제목 15pt, 부제 12.5pt, 저자명 9pt, 국문초록 10pt. 제목과 부제 목 저자명은 중간정렬로 한다.

    - 본문 : 10pt, 장평 100, 자간 –4,

    - 각주 : 8.5pt

    - 항목별 대소번호 : Ⅰ. 13pt, 1. 11.5pt, 1) 10.5pt, (1) 이하 본문과 동일

    - 표 제목 및 내용 : 표 제목은 <표 번호> 표제목으로 표기, 제목 8.5pt(표 위쪽 왼쪽정렬), 표내용 8pt.

    - 그림 : 그림 제목은 [그림 번호] 제목으로 표기, 제목 8.5pt(그림 아래쪽 가운데 정렬) 그림의 출처(8pt), 그림 주석(8pt) 등은 그림의 바로 아래(그림 제목의 위)에 위치하며 그림 위치에 맞춘다. 그림 위치는 본문의 중앙(좌우 간격이 같도록)에 위치시킴

    - 참고문헌 : 제목 10pt, 문헌목록 9.5pt, 내어쓰기 30

    - 영문초록 : 제목 13pt, 부제 10.5pt 저자명 9.5pt, 내용 10pt

     

5. 논문작성 양식: 논문의 양식은 아래의 기준에 의거해 작성한다. 기본 양식은 미국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가 출판한 인용가이드 APA 스타일로서, 내주-참고문헌 방식을 사용한다.

     

▣ 내주 형식

 

 1) 저자가 1명 또는 2명인 경우는 본문 내에 인용될 때마다 모두를 표기한다.

    - 홍길동(2020)은....

    - 홍길동과 김철수(2020)는....

    - 이 연구(Parker & Johnson, 2017)는....

    - (홍길동, 2020)

    - (Hemingway, 2020)

    - (홍길동과 김철수, 2020)

    - (Hemingway & Rolling, 2020)

    

  2)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 내주에서는 첫 번째 저자만 표기하고, ‘외’, ‘등’, ‘et al.’로 표기한다. 단, 3명 이상의 저자 중 1~2명의 저자가 동일하고, 출판연도도 같을 경우 구분되는 이름까지 표기한다. 참고문헌에는 6인까지 표기한다.

     

    - 이 연구(홍길동 등, 2018)는....

    - 홍길동 등(2018)은....

    - 이 연구(Parker et al., 2017)는....

    - Parker et al.(2017)은....

    - (김영희, 김철수, 홍길동 등, 2020)... (김영희, 김철수, 홍지민 등, 2020)

    - (Parker, Nace, Resnin, et al., 2017)... (Parker, Nace, Johnson, et al., 2017)

     

  3) 저자가 단체인 경우, 저자에 단체명으로 표시하고, 약어가 있는 단체명은 처음 인용시 괄호 안에 전체 명칭을 입력 후 약어를 대괄호에 넣어 표기한다.

     

    - 첫 번째 인용: 미국심리학회[APA](2020)는...

    - 두 번째 인용: APA(2020)는....

  4)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표기를 따른다.


없는 정보

표기법

괄호 인용

저자

저자명 대신 출처의 표제를 표기한다. 표제는 볼드체로 표기한다.

(의사소통 기술과 대인관계능력, 2020)

날짜

출판 연도를 모를 경우 ‘n,d’(No Date) 또는 ‘출판일 불명’으로 표기한다.

(홍길동, n.d.)

(Parker, n.d.)

     

▣ 참고문헌

     

참고문헌은 참고 및 인용한 자료를 제시한 목록으로, 본문에 내주로 출처를 표시한 부분이 있다면, 반드시 참고문헌에 그 출처가 제시되어야 한다.

     

  1) 참고문헌은 국문, 중국어, 일본어 등 동양 (한자권) 문헌부터 저자 이름의 가나다순으로 제시하고 그 다음 영문 등 알파벳으로 표시된 저자의 문헌을 제시한다. 즉, 국내/국외, 가나다순(알파벳순), 연도로 나열한다(본문도 동일하게 나열한다).

  2) 같은 저자의 저서가 여러 개 있는 경우는 출판연도 순서로 기록하고 같은 해에 쓰여진 것은 본문에 인용된 순서에 따라서 출판연도 뒤에 1990a, 1990b, 1990c과 같은 방식으로 표기한다. 이 때, 맨 앞의 저자 성명이 같은 경우에도 성명을 모두 표기한다.

     

<자료 유형별 예시>

     

[단행본] 저자명. (출판연도). 도서명. 발행처.

     

김창엽. (2019). 건강의 공공성과 공공보건의료. 한울아카데미.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보고서] 발행기관. (발행연도). 보고서 제목(보고서 번호). 발행처.

- 저자명과 발행처가 동일하면 발행처를 적지 않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 과제 (2013-1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한국 여성의 건강통계(5차) 및 신중년 여성의 건강이슈 분석. 질병관리청.

     

[전자책] 저자명. (출판연도). 도서명. 발행처. URL 또는 DOI.

     

신경아. (2023). 백래시 정치. 동녘.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18397930

Mel Bartley. (2016). Health Inequality: An Introduction to Concepts, Theories and Methods (2nd ed.). Polity.

https://www.amazon.com/Health-Inequality-Introduction-Concepts-Theories-ebook/dp/B01NBI15HT/ref=tmm_kin_swatch_0?_encoding=UTF8&qid=&sr=.

     

[정기간행물] 저자명. (발행연도). 논문제목. 간행물명, 권(호), 인용면수. DOI. 저자는 6인까지 기재한다. 영문 간행물명은 이탤릭으로 하고, 한글 간행물명은 볼드체로 한다.

     

o 저자 1인∼2인

     

유창민. (2022). 청년층의 다양한 우울 변화유형 확인. 사회과학연구, 33(4), 3-20, 10.16881/jss.2022.10.33.4.3

     

염정윤, 정세훈. (2019). 가짜뉴스 노출과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언론학보, 63(1), 7-45, 10.20879/kjjcs.2019.63.1.001

     

Black, M. C. (2011).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adverse health consequences: Implications for clinicians. American Journal of Lifestyle Medicine, 5, 428–439. https://doi.org/10.1177/1559827611410265

     

Abolghasemi, A., & Varaniyab, S. T. (2010). Resilience and perceived stress: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in the students of success and failure.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5, 748–752. https://doi.org/10.1016/j.sbspro.2010.07.178

     

o 저자 3인 이상인 경우, 내주에서는 첫 번째 저자만 표기하고, ‘외’, ‘등’, ‘et al.’로 표기한다. 단, 3명 이상의 저자 중 1~2명의 저자가 동일하고, 출판연도도 같을 경우 구분되는 이름까지 표기한다. 참고문헌에는 6인까지 표기한다.

     

김혜윤, 최소영, 채수미. (2022). 누적된 생애 트라우마 경험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9(5), 67-80, 10.14367/kjhep.2022.39.5.67

     

[편집한 책의 일부]

     

국내 저자명. (출판년도). 챕터 제목. 000 편. 도서명(pp. 인용면수). 소재지:발행처.

국외 저자명. (출판년도). 챕터 제목. 000 (Ed. or Eds.). 도서명(pp. 인용면수). 소재지:발행처.

     

문옥륜. (2013). 대한민국 지역보건 60년의 역사 개관. 지역보건의료발전을위한모임 편. 지역보건 60년의 발자취2(pp. 16-103). 서울:계축문화사.

     

Plichta, S. B. (1996). Violence and abuse: Implications for women’s health. In M. M. Falik & K. S. Collins (Eds.), Women’s Health: The Commonwealth Fund Survey(pp. 237–272).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번역서] 저자명. (출판년도). 도서명. (번역자, 역). 발행처. (원본출판 연도).

     

하워드 웨이츠킨. (2019). 제국과 건강(정웅기, 김청아, 역). 나름북스. (원본출판 2011년).

     

[학위논문] 저자명. (수여연도). 논문제목. [박사 또는 석사논문 유형, 대학명]. DB명.

     

양동욱. (2020). 건강충격이 노동공급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과 가구의 대응. [박사학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울대학교 기관리포지터리.

     

[자료집·발표문] 저자명. (발표연도). 문서제목. 출처. pp. 게재페이지

     

권소희, 김현경, 양영란. (2020). 건강불평등의 진화론적 개념분석. 한국간호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 235-237.

     

[법령] 법령, 제정 또는 개정일, 법령 00호.

     

모자보건법 시행령 제3조, 1973년 5월 28일, 대통령령 제6713호.

     

[신문기사] 저자명. (발행일/발행연도). 기사제목. 신문사명. 

     

홍길동. (2020년 10월 27일). 성평등자문위 의견수렴 말뿐… 복지부도 낙태죄 입법 일방통행. 한겨레신문.

     

Wanqing, Z. (2020, March 2). Domestic violence cases surge during COVID-19 epidemic: Rights activists say law enforcement officials need to be more responsive to reports of gender-based violence. Sixth Tone. 

     

Stanley, M. (2020). Why the increase in domestic violence during COVID19? Psychology Today.

     

[웹페이지] 웹페이지 출처. (발간일자). 웹페이지 제목.

     

보건복지부. (2024년 4월 4일). 민·관 합동으로 미래 성장동력인 바이오헬스산업 발전방안 모색 – 제2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개최-.

     

대한산부인과의사회. (2010년 1월 20일). [보도자료] 임신중절 관련 일부 언론의 왜곡 보도.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Violence prevention: Fast fact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March 11). Director-General’s opening remarks at the media briefing on COVID-19.

     

[ChatGPT] 기관명. (연도). 제목 (버전) [Large language model]. URL.

     

OpenAI. (2023). ChatGPT (3.5 버전) [Large language model]. https://chat.openai.com

     

9. 논문초록

논문초록은 아래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이해하기 쉽게 작성한다.

  1) 연구의 주제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3) 연구결과

  4) 연구의 함의 및 제언

  5) 핵심어(3~6개)




bottom of page